맨위로가기

페드루 2세 (콩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드루 2세는 알바루 1세의 서자로, 1622년 50세의 나이로 콩고 왕국의 마니콩고가 되었다. 그는 알바루 3세의 마니콩고 지방 정부에서 웸보 후작과 므밤바 공작을 역임했다. 즉위 후 앙골라 총독의 침략에 맞서 싸워 승리하고 포르투갈 상인들을 보호하려 노력하여 "포르투갈인의 왕"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어 루안다 공격을 지원하려 했으나, 1624년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아프리카 사람 - 엔히크 1세
  • 16세기 아프리카 사람 - 주앙 1세 (콩고)
    주앙 1세는 15세기 콩고 왕국의 군주로, 포르투갈과의 접촉 후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개명하였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콩고 왕국은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고 중앙 집권적인 체제를 강화했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베르나르두 2세
  • 1624년 사망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624년 사망 - 후쿠시마 마사노리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일본 아즈치-모모야마,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임진왜란 참전과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공으로 히로시마 번주에 임명되었으나 금령 위반으로 강등된 인물이다.
페드루 2세 (콩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드루 2세
칭호Mwene Kongo
이름페드루 2세
왕조Nsundi
통치
즉위1622년 5월 26일
퇴위1624년 4월 3일
전임자Álvaro III
후임자Garcia I
개인 정보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Pierre Nkanga a Mbika lua Ntumba a Mwemba ya Mvika de Pedro Afonso
출생1572년
사망1624년 4월 27일 (52세)
사망 장소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사인병사
왕가콩고 왕가
배우자왕비 1명, 후궁 3명
자녀1남 3녀
적출 아들가르시아 1세(Garcia I)
아버지알바로 1세
친인척알바로 2세(이복 적형)
피에르 음벰바(이복 서형)
알바로 3세(이복 서제)
베르나르도 2세(이복 조카)
종교콩고 토속 신앙 → 로마 가톨릭(세례명: 베드로)

2. 생애

알바루 1세의 서삼남으로 출생하여, 1583년(11세)에 4년 연하의 여성과 결혼하였다. 1587년(15세) 부왕이 사망한 후 이복 형 알바루 2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614년 8월 9일, 알바루 2세가 붕어하자 이복 조카 베르나르두 2세가 콩고 왕국 마니콩고 겸 로앙고 군주국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1615년 8월 24일, 베르나르두 2세가 붕어하자 이복 동생 알바루 음판주 공이 콩고 왕국 마니콩고 겸 로앙고 군주국 국왕 알바루 3세로 즉위하였다.

페드루 2세는 왕족으로서 권력욕을 드러내며 세력을 규합하여 알바루 3세에게 대항하려 하였으나, 알바루 3세에게 후계공으로 책립되어 모반 기도를 꺾었다. 1622년 5월 4일, 알바루 3세가 붕어하자 그의 뒤를 이어 50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1623년, 외아들 가르시아 왕자를 태자로 책봉하였고, 1년 후인 1624년 4월 27일에 52세로 붕어하였다.

2. 1. 초기 생애

알바루 1세의 3남 2녀 가운데 셋째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1583년 11세 때 4년 연하의 여성과 결혼하였다. 1587년 15세 때 아버지를 여읜 후 열아홉 살 위 이복 형 알바루 2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614년 8월 9일, 이복 형 알바루 2세가 사망하자 이복 조카 베르나르두 2세콩고 왕국 마니콩고 겸 로앙고 군주국 국왕으로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 1615년 8월 24일, 이복 조카 베르나르두 2세가 36세로 사망하자 이복 동생 알바루 음판주 공이 32세로 콩고 왕국 마니콩고 겸 로앙고 군주국 국왕 알바루 3세로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 이후 왕족으로서 권력욕을 드러내며 자신의 세력을 모아 이복 동생 알바루 3세에게 대항하려 하였으나, 결국 알바로 3세에게 후계공으로 책립되어 모반 기도를 꺾었다. 1622년 5월 4일, 이복 동생 알바루 군왕이 39세로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50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2] 페드루 2세의 부친은 페드루 자신이 태어난 은순디 지방 출신이며, 그의 왕가는 그 이름 또는 단순히 킨캉가 칸다로 알려져 있다.[2]

2. 2. 즉위 과정

알바루 1세의 서삼남으로 출생한 그는, 1587년 부왕(父王)이 사망한 이후 이복 형 알바루 2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614년 8월 9일 알바루 2세가 붕어하고 이복 조카 베르나르두 2세가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 이듬해인 1615년 8월 24일 베르나르두 2세가 사망하자, 이복 동생 알바루 음판주 공이 콩고 왕국 국왕으로 즉위하는 것을 목도하였다. 이후 왕족 종실의 일원으로서 권력욕을 드러내며 세력을 규합하여 알바루 3세에게 대항하려 하였으나, 알바루 3세에게 후계공으로 책립되어 모반 기도를 꺾었다. 1622년 5월 4일 알바루 3세가 붕어하자, 그의 보위를 이어 50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2] 페드루 2세는 알바루 3세의 마니콩고 지방 정부에서 웸보 후작과 므밤바 공작을 역임했다. 알바루 3세는 나이가 많은 삼촌들이 있었기 때문에 후계자가 없었고, 1622년 그가 사망했을 때 페드루 2세가 타협 후보로 선출되었다.[2]

2. 3. 콩고-앙골라 전쟁 (1622년)

페드루 2세가 왕위에 오르자 주앙 코레이아 드 소자 앙골라 총독은 콩고에 군대를 파견하여 자신이 므웨네콩고를 선택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자는 페드루가 므밤바 공작으로 재임하는 동안 앙골라에서 도망친 노예들을 숨겨두었다고 비난했다.[3]

2. 3. 1. 음붐비 전투

남부 응고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20,000명 규모의 포르투갈 군대는 임방갈라 동맹과 함께 맘바에 진입하여 뭄비에서 공작과 마주쳤다.[1] 공작의 군대는 용감하게 싸워 포르투갈 군대의 일부를 흩뜨렸지만, 그는 자신의 소규모 부대와 그와 합류한 펨바 후작의 병력만 가지고 있어 수적으로 열세였다.[1] 포르투갈군은 두 귀족을 모두 격파하고 살해했다.[1] 그들은 나중에 포르투갈의 임방갈라 군대에 의해 먹혔다.[1]

2. 3. 2. 음반디 카시 전투

페드루 2세는 즉시 앙골라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하고 콩고에서 주력을 이끌고 음반디 카시에서 침략자들을 맞이했다. 콩고 군대는 포르투갈군과 임방갈라족을 격파하고 콩고에서 완전히 몰아냈다.[1] 이 사건 이후, 왕국 전역에서 반포르투갈 폭동이 발생하여 오랫동안 자리 잡은 상인 공동체를 위협했다. 전국에 있는 포르투갈인들은 굴욕적으로 무장 해제되었고 심지어 옷을 벗도록 강요받았다.[1]

페드루 2세는 엠바나 카시에 진지를 구축하고 로마와 스페인 국왕(당시 포르투갈의 통치자)에게 수많은 항의 서한을 보냈다.[1] 이 서한과 콩고와 앙골라의 포르투갈 상인들의 항의로 인해 주앙 코레아 드 수자는 불명예스럽게 소환되었고, 결국 브라질에서 약 1,200명의 노예가 반환되었다.[1] 페드루는 포르투갈 상인 공동체를 소외시키지 않으려 애썼고, 그들이 전쟁 중에 대체로 충성을 유지했다는 것을 알고 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했으며, 이로 인해 비판자들은 그를 "포르투갈인의 왕"이라고 불렀다.[1]

2. 3. 3. 전쟁의 결과

페드루 2세는 즉시 앙골라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하고 콩고의 주력군을 이끌고 엠반다 카시에서 침략자들을 맞이했다. 콩고 군대는 포르투갈군과 임방갈라족을 격파하고 콩고에서 완전히 몰아냈다. 이 사건 이후, 반(反)포르투갈 폭동이 왕국 전역에서 발생하여 오랫동안 자리 잡은 상인 공동체를 위협했다. 전국에 있는 포르투갈인들은 굴욕적으로 무장 해제되었고 심지어 옷을 벗도록 강요받았다.[1]

페드루 2세는 엠바나 카시에 진지를 구축하고 로마와 스페인 국왕(당시 포르투갈의 통치자)에게 수많은 항의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과 콩고와 앙골라의 포르투갈 상인들의 항의로 인해 주앙 코레아 드 수자는 불명예스럽게 소환되었고, 결국 약 1,200명의 노예가 브라질에서 반환되었다. 페드루는 포르투갈 상인 공동체를 소외시키지 않으려 애썼고, 그들이 전쟁 중에 대체로 충성을 유지했다는 것을 알고 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했으며, 이로 인해 비판자들은 그를 "포르투갈인의 왕"이라고 불렀다.[1]

2. 4. 네덜란드와의 동맹 시도

페드루 2세는 네덜란드 연방에 서한을 보내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가 콩고는 육로로, 네덜란드는 해상으로 루안다를 공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을 제안했다.[1] 그는 이 동맹이 성사되기 전에 사망했지만, 콩고와 네덜란드 사이의 동맹은 지속되었고, 결국 1641년 네덜란드의 루안다 공격으로 결실을 맺게 되었다.[1]

2. 5. 사망

1623년 외아들 가르시아 왕자를 태자로 책봉하였고, 1년 후 1624년 4월 27일에 52세로 붕어하였다.

3. 평가

페드루는 널리 미덕이 있는 사람이자 모범적인 기독교인으로 여겨졌다. 콩고에 최근 도착한 예수회는 그를 기독교적 품행의 전형으로 칭송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부왕알바루 1세
이복 적형알바루 2세
이복 서형피에르 음벰바
이복 서제알바루 3세
이복 조카베르나르두 2세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은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Central African Names and African-American Naming Patterns https://www.jstor.or[...] 1993
[2] 서적 The Kongolese Saint Anthony: Dona Beatriz Kimpa Vita and the Antonian Movement, 1684-170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5-13
[3] 논문 Capuchins, Missionaries, and Slave Trading in Precolonial Kongo-Angola, West Central Africa (17th Century) https://brill.com/vi[...]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